밀도, 영률, 프와종비, 열전도계수, 열저항계수와 같은 금속의 물리적 물성들은 화학물질의 다양성, 상변화, 열강화 및 열처리, 결정축 방향 등과 같은 많은 요소들에 의해 좌우됩니다. 물리적 물성의 값은 결정격자에서 측정된 방향에 좌우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스칼라 수량이 아닙니다. 따라서 이것들은 주로 근사값으로 표현됩니다.
한 사람이 단순하지도 간단하지도 않은 금속의 물리적 물성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금속의 물리적 물성 값은 상당히 값의 범위가 넓을 수 있음을 염두에 두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Total Materia에서 제공되는 물리적 특성치들은, 이 값들이 아무리 SDO(standards development organizations)에 의해 제공 된 값이라 하더라도 단지 암시하는 값이며, 이 값들은 최종 설계등에 사용되면 안됩니다. 특정한 적용을 위해서 마지막 리뷰를 하고 재료 특성치를 검사해보고 적당한지 확인해 보는 것은 사용자의 책임입니다.
금속 공학자들과 재료 전문가들이 가능한 한 가장 가까운 정보를 얻기 위해 노력하여 Total Materia는 물리적 물성을 표현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접근하게 되었습니다. 이 표현법은 카테고리들의 연계인데, 이 것들은 SDO의 가장 믿을 만한 값들부터 다양한 소스로 부터 제공된 일반적인 정보들까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연계 접근법은 다음과 같은 3가지의 구별되는 카테고리가 있습니다.
Official
몇 재료들에 대해서 물리적 물성들은 standards development organizations(SDOs)에 의해 출판된 재료 특성치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SDO에 의해 출판된 정보들은 대체적으로 믿을 수 있지만, 물리적 물성에 대한 값들은 그저 암시적으로만 표시되어 있습니다. 공급자들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인장 응력과 항복 강도와 같은 기계공학적 물성과는 달리 물리적 물성들은 암시하는 값으로써 훨씬 큰 데이터 범위가 허용됩니다.
다른 소스들
금속의 물리적 특성 값들을 위한 Total Materia 카테고리의 다른 소스들은 금속 산업과 학문 문서, 브로슈어, 생산자의 카탈로그, 인터넷 상의 분석과 문서들의 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Total Materia의 금속 공학자들과 엔지니어들은 이 재료를 재검토 해보고 이것의 유효성에 따라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러한 소스들의 정보들은 보통 정확하지만, 우리는 이 정보의 안정성 단계가 SDO에서 출판된 권고안보다 낮다고 보고 있습니다. 따라서 개개인은 재료에 대하여 그 특성치와 관련된 적용에 대해 더 엄격한 분석을 수행해야 합니다.
대표적인 값들
금속 공학적 전문성, 통계학적 적용, 그리고 전문 문서에 대한 분석에 입각하여 Total Materia는 금속 공학적 및 물리학적 유사성으로 분류한 다양한 그룹의 금속에 대해 대표적인 특성치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대표적인 값들은 그 특성에 의해 근사값이며 이것들은 계산의 시작점이어야 하지, 결과값으로 쓰여서는 안됩니다.